티스토리 뷰

728x90

문제

크기가 3×3인 배열 A가 있다. 1초가 지날때마다 배열에 연산이 적용된다.

  • R 연산: 배열 A의 모든 행에 대해서 정렬을 수행한다. 행의 개수 ≥ 열의 개수인 경우에 적용된다.
  • C 연산: 배열 A의 모든 열에 대해서 정렬을 수행한다. 행의 개수 < 열의 개수인 경우에 적용된다.

한 행 또는 열에 있는 수를 정렬하려면, 각각의 수가 몇 번 나왔는지 알아야 한다. 그 다음, 수의 등장 횟수가 커지는 순으로, 그러한 것이 여러가지면 수가 커지는 순으로 정렬한다. 그 다음에는 배열 A에 정렬된 결과를 다시 넣어야 한다. 정렬된 결과를 배열에 넣을 때는, 수와 등장 횟수를 모두 넣으며, 순서는 수가 먼저이다.

예를 들어, [3, 1, 1]에는 3이 1번, 1가 2번 등장한다. 따라서, 정렬된 결과는 [3, 1, 1, 2]가 된다. 다시 이 배열에는 3이 1번, 1이 2번, 2가 1번 등장한다. 다시 정렬하면 [2, 1, 3, 1, 1, 2]가 된다.

정렬된 결과를 배열에 다시 넣으면 행 또는 열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. R 연산이 적용된 경우에는 가장 큰 행을 기준으로 모든 행의 크기가 변하고, C 연산이 적용된 경우에는 가장 큰 열을 기준으로 모든 열의 크기가 변한다. 행 또는 열의 크기가 커진 곳에는 0이 채워진다. 수를 정렬할 때 0은 무시해야 한다. 예를 들어, [3, 2, 0, 0]을 정렬한 결과는 [3, 2]를 정렬한 결과와 같다.

행 또는 열의 크기가 100을 넘어가는 경우에는 처음 100개를 제외한 나머지는 버린다.

배열 A에 들어있는 수와 r, c, k가 주어졌을 때, A[r][c]에 들어있는 값이 k가 되기 위한 최소 시간을 구해보자.

 

입력

첫째 줄에 r, c, k가 주어진다. (1 ≤ r, c, k ≤ 100)

둘째 줄부터 3개의 줄에 배열 A에 들어있는 수가 주어진다. 배열 A에 들어있는 수는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

 

출력

A[r][c]에 들어있는 값이 k가 되기 위한 연산의 최소 시간을 출력한다. 100초가 지나도 A[r][c] = k가 되지 않으면 -1을 출력한다.

 

코드
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unordered_map>
#include <algorithm>

using namespace std;

int R;
int C;
int K;
int r_size;
int c_size;
int A[101][101];

unordered_map<int, int> um;
unordered_map<int, int>::iterator it;
vector< pair<int, int> > tmp;

void r_sorting()
{
	int i, j;
	int size, curr = c_size;
	
	for (i = 1; i <= r_size; i++)
	{
		for (j = 1; j <= curr; j++)
		{
			if (A[i][j] != 0)
				um[A[i][j]]++;
		}
		for (it = um.begin(); it != um.end(); it++)
		{
			tmp.push_back(make_pair(it->second, it->first));
		}
		sort(tmp.begin(), tmp.end());
		size = tmp.size();
		if (size > 50) size = 50;
		for (j = 0; j < size; j++)
		{
			A[i][2 * j + 1] = tmp[j].second;
			A[i][2 * j + 2] = tmp[j].first;
		}
		for (j = size * 2 + 1; j <= curr; j++)
			A[i][j] = 0;
		if (c_size < size * 2)
			c_size = size * 2;
		um.clear();
		tmp.clear();
	}
}

void c_sorting()
{
	int i, j;
	int size, curr = r_size;
	
	for (i = 1; i <= c_size; i++)
	{
		for (j = 1; j <= curr; j++)
		{
			if (A[j][i] != 0)
				um[A[j][i]]++;
		}
		for (it = um.begin(); it != um.end(); it++)
		{
			tmp.push_back(make_pair(it->second, it->first));
		}
		sort(tmp.begin(), tmp.end());
		size = tmp.size();
		if (size > 50) size = 50;
		for (j = 0; j < size; j++)
		{
			A[2 * j + 1][i] = tmp[j].second;
			A[2 * j + 2][i] = tmp[j].first;
		}
		for (j = size * 2 + 1; j <= curr; j++)
			A[j][i] = 0;
		if (r_size < size * 2)
			r_size = size * 2;
		um.clear();
		tmp.clear();
	}
}

int main()
{
	int i, j;

	cin >> R >> C >> K;
	for (i = 1; i <= 3; i++)
	{
		for (j = 1; j <= 3; j++)
		{
			cin >> A[i][j];
		}
	}
	r_size = 3;
	c_size = 3;
	for (i = 0; i <= 100; i++)
	{
		if (A[R][C] == K)
			break;
		if (r_size >= c_size)
			r_sorting();
		else
			c_sorting();
	}
	if (i > 100)
		cout << -1 << endl;
	else
		cout << i << endl;
	return 0;
}

 

링크

 

17140번: 이차원 배열과 연산

첫째 줄에 r, c, k가 주어진다. (1 ≤ r, c, k ≤ 100) 둘째 줄부터 3개의 줄에 배열 A에 들어있는 수가 주어진다. 배열 A에 들어있는 수는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

www.acmicpc.net

 

inbdni/Baekjoon

Contribute to inbdni/Baekjo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
github.com

 

728x90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공지사항
링크
Total
Today
Yesterday